충북도는 지금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와 산업전환이라는 이중의 도전에 직면해 있다. 생산연령인구의 감소와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은 지역 산업의 기반을 흔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업, 농축산업, 서비스업 전반에서 인력 부족이 심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력위기 속에서 외국인 인재는 새로운 해법이자 기회로 떠오르고 있다.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가 지난 6월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충북도 내 체류 외국인은 총 7만8623명으로 도내 전체 인구의 약 4.7%에 해당한다. 청주시 2만8234명, 음성군 1만8239명, 진천군 1만2099명, 충주시 7905명 등으로 외국인 인구가 집중돼 있으며, 이는 충북이 이미 다문화적 산업사회로 빠르게 이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금까지 외국인 인력정책은 주로 비전문인력(E-9) 중심의 단순노무 분야에 초점이 맞춰져 왔지만, 반도체와 이차전지, 바이오헬스 등 첨단산업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빠르게 전환되면서 ‘산업·기술 중심형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충북도는 지역 대학의 국제화와 산업연계를 강화한 결과, 2025년 현재 외국인 유학생 수가 1만334명에 달하고 있다. 이들은 한국의 기술력, 안정된 생활환경, 산업과 연계된 교육기회를 보고 충북을 선택했다. 특히 유학(D-2) 비자로 체류하는 유학생은 청주 청원구 2830명, 흥덕구 1274명, 서원구 962명에 집중되어 있으며, 음성군 561명, 제천시 550명 등 산업단지 인근 지역에서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충북 유학생의 약 70% 이상이 산업벨트 인근에 거주한다는 점은 지역의 산업수요와 교육수요가 긴밀하게 맞닿아 있음을 보여준다.
교육부의 「2024년 고등교육통계연보」에 따르면, 충북 외국인 유학생의 절반 이상이 공학, 바이오, 정보통신 분야를 전공하고 있다. 이는 충북의 주력산업인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헬스 산업과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전공이다.
청주와 오창의 반도체 특화단지, 충주의 이차전지 국가산단, 오송의 바이오헬스 혁신벨트는 모두 세계 기술 표준과 품질 역량을 요구하는 산업군이다. 유학생들은 이미 한국어와 전공 관련 기술, 실험·실습 경험을 갖추고 있어 이러한 첨단산업 현장에 즉시 투입할 수 있는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아직 녹록지 않다. 많은 유학생이 졸업 후 수도권으로 이동하거나 본국으로 돌아가고 있으며, 이는 지역 내 취업 연계 체계 부족과 비자 제도의 경직성, 정주 인프라의 미비가 원인으로 꼽힌다.
따라서 충북은 외국인 유학생을 단순한 학습 인구가 아니라 산업전환기에 필요한 핵심 산업인재로 육성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대학과 기업, 지자체가 협력해 산학연계형 유학생 산업연계 트랙을 구축하고, 학업과 현장실습, 취업, 정착으로 이어지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유학생이 재학 중 지역 기업에서 실습과 인턴십을 수행하고, 졸업 후 ‘지역특화 숙련기능인력 비자(E-7-4)’와 연계된다면 졸업 후에도 충북에서 안정적으로 취업과 거주가 가능해질 것이다.
이러한 환경은 유학생의 지역 잔류율을 높이고, 기업에게는 장기적 인재 확보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중소기업중앙회의 「2024년 중소기업 인력난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역 기업의 58% 이상이 “외국인 인력 없이는 생산 유지가 어렵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단순노무 인력에 머물지 않고 유학생 출신의 고숙련 인재를 적극 채용한다면 생산성과 기술혁신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이는 단기적인 인력 보완을 넘어 지역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선택이 될 것이다.
결국 충북도의 미래 경쟁력은 사람, 즉 인재에 달려 있다. 외국인 유학생은 더 이상 잠시 머무는 학습자가 아니라, 지역 산업의 혁신을 함께 이끌어갈 동반자다. 대학은 산업수요에 맞춘 실무교육을 제공하고, 기업은 열린 채용문화를 확산하며, 지자체는 정주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이러한 협력의 삼각축이 맞물릴 때, 충북은 단순한 산업지대를 넘어 충북에서 새로운 인생을 시작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머물고, 지역이 성장하고, 산업이 발전하는 지역으로 거듭나길 기대한다.
동양일보TV